중용 제1장 1-4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달도야.
중용 1-4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達道也.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달도야. 1-4 희노애락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를 중이라 일컫고, 그것이 발현되어 상황의 절도에 들어맞는 것을 화라고 일컫는다. 중이라는 것은 천하의큰 근본이요, 화라는 것은 천하사람들이 달성해야만 할 길이다. 沃案 『순자』의 「정명」편에도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성의 호오희노애락을 일컬어 정이라 한다." 매우 짤막한 한 구절이지만 『성자명출』에서 확연히 표명된 자사의 사상을 적통으로 잇고 있는 발언이라고 할 것이다. 성은 본래 모든 정의 가능성이다. 성과 정을 지나치게 이원화하는 논리는 모두 『중용』에 대한 바른..
중용 제1장 1-2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군자계신 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중용 1-2. 道也者, 不可須㬰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戒愼 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군자계신 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1-2. 도라는 것은 잠시라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도가 만약 떠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데서 계신하고, 들리지 않는 데서 공구한다. 자사는 성·도·교중에서 가운데의 도를 끄집어내어 다음의 논리 전개의 주제로 삼고 있다. 이것은 매우 현명한 전략이다. 도를 말하면 결국 성과 교를 모두 포섭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성과 밀착되어 있는 도는 나라는 존재의 내부의 문제이므로 잠시라도 나에게서 떠날 수 없다. 그것은 바로 나의 존재성을 규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이나, 희교도도들 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