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가지 있는 인문학

(34)
중용 제1장 1-4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달도야. 중용 1-4 喜怒哀樂之未發, 謂之中; 發而皆中節, 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達道也. 희노애락지미발, 위지중; 발이개중절, 위지화. 중야자, 천하지대본야; 화야자, 천하달도야. 1-4 희노애락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를 중이라 일컫고, 그것이 발현되어 상황의 절도에 들어맞는 것을 화라고 일컫는다. 중이라는 것은 천하의큰 근본이요, 화라는 것은 천하사람들이 달성해야만 할 길이다. 沃案 『순자』의 「정명」편에도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성의 호오희노애락을 일컬어 정이라 한다." 매우 짤막한 한 구절이지만 『성자명출』에서 확연히 표명된 자사의 사상을 적통으로 잇고 있는 발언이라고 할 것이다. 성은 본래 모든 정의 가능성이다. 성과 정을 지나치게 이원화하는 논리는 모두 『중용』에 대한 바른..
중용 제1장 1-2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군자계신 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중용 1-2. 道也者, 不可須㬰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戒愼 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도야자, 불가수유리야. 가리, 비도야. 시고군자계신 호기소불도, 공구호기소불문 1-2. 도라는 것은 잠시라도 떠날 수 없는 것이다. 도가 만약 떠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군자는 보이지 않는 데서 계신하고, 들리지 않는 데서 공구한다. 자사는 성·도·교중에서 가운데의 도를 끄집어내어 다음의 논리 전개의 주제로 삼고 있다. 이것은 매우 현명한 전략이다. 도를 말하면 결국 성과 교를 모두 포섭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성과 밀착되어 있는 도는 나라는 존재의 내부의 문제이므로 잠시라도 나에게서 떠날 수 없다. 그것은 바로 나의 존재성을 규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인들이나, 희교도도들 잠..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 7 天命之謂性 7천명지위성 "지악필비," 즉 지극한 음악의 경지에서 비장감을 느낄 줄 아는 인간이라면 도덕적 품성이 나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런 인간은 "반선복시反善復始"하게 마련이라고 자사는 말한다. 그 본래적인 성의 좋음으로 돌아가고, 그 원초적 본바탕으로 복귀하게 된다는 것이다. "반선복시反善復始"는 동시에 음악의 멜로디의 구성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만큼 얘기했으면, 독자들은 『중용』 사상의 핵심과 『성자명출』의 패러다임의 상호연관을 충분히 파악했을 것이며 『중용』과 『악기』, 『성자명출』의 악론과의 내면적 상관성을 이해를 했을 것이다. 그리고 『중용』 제1장에서 앞의 2구 이후에 왜 갑자기 "희노애락"의 문제가 튀어나오게 되는지 그 필연적 관계도 용이하게 파악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왜 자사는 성..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 6 天命之謂性 6천명지위성 할 말은 끊임없이 많으나, 본 서가 어디까지나 『중용』의 역주서이므로 『성자명출』의 해석은 여기서 자제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다시 한 번 그 전개된 논의를 총괄적으로 검토해보면 자사의 사상은 성을 정의 그라운드로 파악하는 확고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성자명출』의 상당부분이 "악론"이다(전체의 3분의 2 이상). 『예기』의 「악기」에 상응하는 논술이지만, 「악기」는 악을 예악이라는 사회제도의 측면에서 고찰하기 때문에 치민治民의 정치적 수단으로 간주하는 측면이 강하다. 악은 한마디로 선왕지도先王之道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자명출』의 악론은 이렇게 이데올로기화 되어있질 않다. 그것은 순수한 심성론의 기초 위에서 인간의 정념을 어떻게 음악을 통하여 다스릴 ..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 5 天命之謂性 5천명지위성 "희노애비지기喜怒哀悲之其, 성야性也"라는 말은 반드시 다음에 오는 "급기현어외 及其見於外 즉물취지야則物取之也"라는 말과 짝을 지어서만 의미를 갖는다. 희노애비의 기의 가능성이 모두 함장되어 있는 것이 성이기는 하지만, 그 성이 외부로 발현되어 드러나는 것은 반드시 물과의 접촉을 통하여 촉발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대상세계와의 교섭을 통하여 방향이 일정치 않았던 심적 현상(心無定志)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구체적인 감정표현으로 드러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은 명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性自命出), 그 명은 천으로부터 내려오는 것이다(命自天降). 여기 "명자천강"이라는 표현은 우리가 『상서』나 『시경』에서 수없이 발견할 수 있는 초월적·주재적 천의 이미지를 보지保持하고 있다...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 4 天命之謂性 4천명지위성 성은 생긴 그대로의 바탕이다. 그런데 그것은 우리가 "심"이라고 부를 때는 일정한 지향성intentionality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2구인 "심무정지"는 곽점간에는 "心亡奠志"로 되어있고, 상박간에는 "心亡正志"로 되어 있다. "지"라는 것은 내가 말한 지향성이다. "정"은 "지어일"의 뜻이 그 고의이다. 인간의 심적 에너지는 지향성이 없을 땨는 그것은 구체적인 감정으로서 드러날 수가 없다. 호오의 문제만 해도 우리가 "좋아한다"는 것은 반드시 그 "무엇"을 좋아하는 것이다. "싫어한다"는 것도 반드시 그 "무엇"을 싫어하는 것이다. 그 무엇이라는 대상이 바로 심이 지향하는 것이다. 그 대상은 외부적 사물일 수도 있고, 그것을 연상시키는 의식내적 이미지일 수도 있다. 그러..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3 天命之謂性 3천명지위성 3 곽점에서 나온 『성자명출 性自命出』이라는 죽간이 바로 우리의 논의의 대상인데, 이 죽간의 텍스트 문제는 여기서 논외로 할 수밖에 없다. 워낙 범위가 넓고 복잡한 문제이며 여기서 그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면 우리의 주제가 벗어나가 버린다. 관심있는 독자들은 사게의 축적된 논술자료들을 일람해주기를 바란다. 『성자명출』은 내용이 결코 적은 분량이 아닌 방대한 성에 관한 논의로서 맹자 이전의 시대로 확실하게 소급되는 문헌이다. 그 논의를 일별해보면, 『중용』 1장의 성립과정을 별도로 척출하여 후대로 내려잡아야 한다는 일인학자들의 번쇄한 고증논의를 일거에 무가치한 쓰레기로 만들어 버린다. 아마도 죽간이 나온 형문의 무덤 속에 대신 파묻어 버려야 할지도 모르겠다. 한국의 학자들은 그동안 ..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 2 天命知謂性 2천명지위성 2 여기 우선 "명"이라는 동사는 고전중국어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시제가 규정되어 있질 않다. 그러나 시제가 규정되어 있질 않다는 그 사실로부터 우리는 그 의미를 추론해야지 그것을 시제가 확실한 인도·유러피안 언어적 발상에 의하여 규정하면 안된다. "천명"은 과거형일 수가 없다. 예를 들면, "하늘이 명해버린 것"이라고 번역될 수는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성"이 일 시점에서 명령되어 그 제작이 끝나버린 어떤 실체일 수가 없다는 것이다. 성은 하늘이 명한 것이 아니라, 명하는 것일 수밖에 없다. 그것은 영원한 현재형이다. 영원한 현재형이라는 것은 성은 그 본질적 성격상 일시적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영원히 형성중인 과정이라는 것이다. 성이란 하늘이 끊임없이 명령하면서 형..